Mp3 Cutter Joiner란 프로그램입니다. 옛날에는 프리웨어였는데 요즘엔 쉐어웨어로 바뀌어서 파일 변환 숫자에 제한이 있습니다. 그래서 키젠을 같이 첨부합니다.(압축파일 안에 보면 키젠도 있습니다.)
※ 설치법 : 위에 파일을 다운로드해 압축을 풀면 설치파일과 키젠이 나옵니다. 먼저 설치파일로 설치를 하신 뒤에 실행을 하면 Register창이 뜹니다. 그때 키젠을 실행하시고 Name과 Serial을 각각 복사해서 붙여넣은 뒤에 Register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완료입니다.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우선 설정부터 해야겠네요. 오른쪽 위에 Settings로 들어갑시다.
먼저 기본설정인데 나머지는 필요없으니 건들지 마시고 아래쪽에 Output Path(결과물이 저장되는 곳)만 변경해줍시다. 그리고 스트리밍을 하려면 wma로 인코딩해야 하니 왼쪽 메뉴에서 wma를 들어가주세요.
wma의 음질을 고르는 부분이 나오는데 라디오 스트리밍에 가장 적합한 "WMA9 44KHz, 32Kbps, Stereo, CBR"을 골라주세요. 그리고 OK를 누릅니다. 그리고 원래 화면으로 돌아가서 Add File을 클릭한 뒤 분할할 라디오 파일을 선택해서 추가합니다.
이제 각 파일별로 자를 부분을 설정해줍시다. 일단 아래쪽에 Begin을 눌러서 시작점을 설정해주세요.
그리고 아래 재생바를 적당한 부분으로 옮긴 뒤에 End를 눌러서 끝낼 부분을 설정해줍시다. Play 버튼을 누르면 직접 재생할 수도 있으니 들어보고 적당한 지점에서 끊어주세요. 그리고 OK를 눌러주세요.
이제 다시 현재 지점에서 다시 Begin으로 시작점을 설정한 뒤 맨끝으로 재생바를 옮기고 End를 눌러 끝낼 부분을 설정한 뒤 OK를 눌러주세요. 대부분의 라디오는 32kbps wma의 경우 2개로만 분할해도 10MB 이하로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한번에 파일 1개씩만 작업하면 감질나니 다른 파일도 마저 설정해줍시다.
이제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아래쪽에 Format에서 wma를 고른 뒤에 Split를 클릭하면 각 파일별로 분할 저장을 시작합니다.
컴퓨터에 따라 다르겠지만 30분짜리 분할 파일 하나당 1분이 안걸립니다. 속도 괜찮죠?
2. wmv파일에서 오디오 부분만 추출해보자
아마 이건 A.R.님이 소개해준 dBpowerAMP Music Converter를 이용해 인코딩 하시는 분이 많을거라 생각되는데 그럴 경우 자체적으로 인코딩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립니다.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파일 하나 추출하는데 몇초밖에 안걸립니다. 우선 이걸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윈도우즈 미디어 인코더 9 시리즈 한글버전입니다. 저걸 압축을 푼뒤 설치를 합시다. 그리고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Windows Media → 유틸리티 → Windows Media 스트림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비스타는 파일 위치가 조금 다를수도 있습니다.)
이런 그림이 조금 짤리네요... 저기에서 왼쪽에 원본 추가를 클릭한 뒤 wmv 파일을 불러옵시다.
불러온 파일에서 "+" 부분을 클릭합시다. 그러면 파일의 구성이 나올겁니다.
저기에서 오디오를 선택하고 추가를 눌러주세요.
이제 오른쪽에 파일 만들기를 클릭한 뒤에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하면 아래 출력파일 목록으로 들어갈겁니다. 파일이름은 원본추가할때 미리 복사한 뒤에 붙여넣는게 좋겠죠?
비록 시간이 얼마 안걸린다고 해도 파일 하나하나 작업하면 너무 번거로우니 파일을 여러개 불러와서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해 목록에 파일을 넣어줍시다. 그리고 오른쪽 아래에 시작을 눌러주세요.
이러면 wma파일 추출을 시작합니다. 인코딩하는게 아니라 파일 내용 그 자체를 추출하는 것이므로 파일 하나당 몇초 안걸립니다.
추출 작업이 끝나면 원본이 있는 폴더에 추출된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일 추출한 wma 파일의 용량이 10MB를 넘으면 위에 소개한 MP3 Cutter Joiner로 분할 해주시면 됩니다. 그런데 온센 파일은 원본 음질이 32Kbps라서 대부분 10MB를 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삼치눈입니다.
A.R님의 권유로 어찌하다보니 저도 튜토리얼을 작성하게 됬네요.
개인적으로 이런류의 포스팅은 처음이라 많이 어색할거라 생각되지만
잘부탁드립니다.
기본적으로 라디오를 업로드 하실때는 왼쪽에 진행중인 라디오에
업로드 하게 됩니다. 하지만 연재중이던 라디오가 완결되면 더이상 진행중인 라디오 카테고리에 놓을 이유가 없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특정 요일 라디오 목록을 볼때도 이미 완결된 라디오가 목록에 그대로 있으면 거추장스러울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완결된 라디오의 경우 밑에 있는 라디오 목록으로 옮겨주셔야 합니다. 그런데 완결된 라디오 카테고리에는 새로운 완결 라디오가 들어갈 카테고리가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새로 카테고리를 만들어주셔야 합니다.
1. 카테고리 만드는 법
우선 티스토리 관리창으로 들어가신뒤에 위에 메뉴중에서 스킨 → 카테고리 설정 으로 들어갑니다.
* 오른쪽에 있는 스킨 종류,글자 길이 등은 가능하면 건들지 맙시다. 여기는 여러사람이 같이쓰는 팀블로그니까
독단적으로 블로그 스킨에 영향을 줄수 있는 행동은 하지맙시다.
위에 카테고리 미리보기 옆에 보면 수정, 추가 등의 메뉴가 있습니다. 그런데 Otaku Radio Station(이하 ORS)는
블로그의 특성상 카테고리 워낙 많아서 카테고리를 여러개 만들때 일일히 스크롤바를 올렸다가 내렸다가 하면
힘들고, 귀찮습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좀더 능률적인 방법을 씁시다.
카테고리를 만들곳의 바로 상위 카테고리에서 오른쪽 클릭을 해주면
왼쪽과 같이 메뉴가 나옵니다. 저기서 새 카테고리를 클릭한 뒤
카테고리명을 입력해줍시다. 그리고 Enter를 누르면 됩니다.
어때요? 참 쉽죠?
그런데 카테고리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지정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위 카테고리중에 가장 밑으로 내려갑니다.
ORS는 카테고리를 사전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하므로 카테고리를 드래그해서 알맞은 위치로
옮겨줍시다.
※ 주의!
카테고리를 만들고 바로 다른 창으로 넘어가면 카테고리 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카테고리 페이지에서
맨 아래에 있는 저장을 눌러야만 수정한 카테고리가 적용이 됩니다.
※ 카테고리를 저장을 했는데 카테고리 생성이 안돼요!
티스토리가 새관리창으로 바뀐지 아직 오래되지 않아서 아직도 여기저기 버그가 있습니다. 그래서 가끔 카테고리가 제대로 생성이 되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여러번 시도를 해보시고 정 안된다 싶으면 위에 메뉴에서
이전 관리로 들어갑니다.
이전 관리에서 메뉴중에 글 →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이전 관리에서는 새 관리처럼 오른쪽 클릭이나 드래그를 통한 카테고리 위치 옮기기가 안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카테고리가 들어갈 상위 카테고리를 클릭한뒤에 오른쪽에 있는 만들기에서 카테고리 이름을
쓰고 추가하기를 누릅니다. 그리고 위에 스샷에서는 제가 최상위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있어서 정렬순서
변경이 활성화 되있지 않지만 새로 만든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정렬순서 변경에 "위로" 버튼과 "아래로" 버튼이
생깁니다. 그걸 이용해 카테고리를 알맞은 위치로 옮겨줍시다.
참고로 이전 관리에서는 저장을 하지 않아도 바로바로 적용이 됩니다.(랄까... 애초에 저장버튼이 없습니다.)
2. 카테고리를 작성할 때 유의할 점
① 카테고리 이름은 라디오 이름을 기본으로 하되, 만약 그 라디오가 어떤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라디오
일 경우 카테고리 이름은 원작의 이름을 쓴다.
(예. "안녕 절망방송"의 경우 카테고리명을 "안녕 절망선생"이라한다.)
② 만약 여러개의 라디오가 원작이 같거나 시리즈일 경우 다음과 같이 카테고리를 만든다.
┏라디오의 원작 혹은 시리즈 이름┓
라디오 제목 1
라디오 제목 2
┗━━━━━━━━━━━━━━┛
위 아래에 있는 구분선은 그냥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아쉽게도 티스토리에서
카테고리 구분선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3. 완결된 라디오를 새로만든 카테고리로 옮기려면?
관리창에서 위의 메뉴에서 글관리 → 글목록으로 들어갑니다.
가로가 길어서 그림이 조금 깨지는군요...
여기서 검색을 통해 완결된 라디오만 목록에 보이게 한 뒤 작성일 옆에 있는 체크박스를 클릭하면 전체선택이
됩니다. 전체선택이 되면 선택한 글을 메뉴에서 분류 이동을 클릭한 뒤에 새로 만든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새로 만든 카테고리로 라디오가 옮겨집니다.
참고로 라디오의 숫자가 많으면 한페이지 모든 목록이 표시가 안될겁니다. 어쩔수없이 페이지 하나하나 전체
선택해서 옮겨줍시다.
4. 전체 다운로드 포스팅을 하나 만들어주자.
가끔 보면 라디오 숫자가 너무 많아 하나하나 일일히 받는게 힘들다고 전체 다운로드 할수있게 해달라고 하거나
클박에 업로드 해달라고 요청하는 분이 있다. ORS는 그런 분들을 위해 완결된 라디오의 경우 전체 다운로드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서식은 아래와 같이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제목 : [다운로드] 생선 통조림 라디오 (전 방영분)
사진(가운데 정렬)
생선 통조림 라디오
(여기엔 일본어로 라디오 제목을 씁니다.) 퍼스널리티 : 삼치눈 (생선 役)
방송처 : 통조림 공장 (링크해주는 것을 잊지 맙시다.) 최초 방송일 : ????년 ??월 ??일
방송 종료일 : ????년 ??월 ??일 방송 회수 : 총 ?? 회 방송 주기 : ?
여기엔 다운로드 파일이 들어갑니다.
※ 뭐 당연한거지만 색깔은 지금까지 그 라디오를 작성해왔던 서식의 색깔에 맞춰줍시다.
그리고 다운로드 파일을 만들때는 라디오를 한 폴더에 넣은 뒤에 압축해주세요.
그리고 폴더명은 다음과 같이 해주세요.
[년.월.일 - 년.월.일] 라디오 제목(일어) 全??回 (퍼스널리티 이름 일본어로)
년.월.일은 앞에는 최초 방송일, 뒤에는 방송 종료일을 쓰면 됩니다.
그리고 압축하실때는 늘 얘기하는 거지만 영어로!
전체 다운로드는 압축 파일명에 날짜를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로서 튜토리얼 #03 - 진행중이던 라디오가 완결이 되면? 을 마칩니다.
처음 쓰는 거라 그러기도 하지만 쓰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_-;; (1시간 30분 정도 걸림...)
질문이 있거나 지적사항이 있으신 분은 댓글 달아주세요.
어색하고 긴 포스팅 읽어주시느라 감사했습니다.
P.S. 기타 티스토리 사용법은 대부분 http://guide.tistory.com/ 로 들어가시면 찾을 수 있습니다.
포스팅하는 방법등에 궁금한 점이 있을땐 먼저 위에 사이트에서 사용법을 찾던가, ORS지부의 튜토리얼을
읽어보던가, 아니면 ORS 지부나 자기 개인 블로그에서 직접 실험을 해보는 등 다른 사람에게 질문하기 전에
먼저 자기가 찾아보는 습관을 들입시다.
태그 입력은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아주 중요합니다. 데이터 분류 및 검색에 있어 필수적이죠.
저는 보통 방송국, 애니메이션 이름, 퍼스널리티 순으로 적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 중에 하나가 라디오 명이 아니라 애니메이션 이름으로 적는다는 것인데 그래야 나중에 찾기 쉽습니다.
Ex) 애니메이션 이름 : 오덕오덕
퍼스널리티 : 마릴린 맨슨
방송국 : 오덕후 스테이션
'클라나드' 라디오를 통해 한 번 살펴보도록 하죠.
'Animate, Onsen, 나카하라 마이, 오키아유 료타로, 이노우에 키쿠코, 클라나드'
구조가 한 눈에 보이시죠? 말 그대로 방송국, 애니메이션 이름, 퍼스널리티입니다.
(출력될 땐 ABC, 가나다 순)
정리하면 이렇게 됩니다.
클라나드는 방송국이 두 개이니, Animate와 Onsen을 모두 입력해줍니다.
퍼스널리티 또한 마찬가지로 여러명이니 이름을 다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해당 애니메이션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만약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게임이나 자체 라디오라면
게임명이나, 자체 라디오명을 적으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붉은 빛으로 물든 비탈길'과 'Standard 마루나게'가 있겠죠.
그리고 게스트가 있을 경우엔 반드시 게스트 이름도 태그에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태그 입력이 귀찮으실 분들도 많으실텐데 예전에 제가 미리 다 해둔 부분이 많아서 왠만한 건 문자 몇 개만 쳐도 해당 태그가 바로 뜰 겁니다.
참고로 주요 제가 입력해둔 주요 방송국 태그입니다.
Animate
Onsen
문화 방송 (띄어쓰기 주의! 등록된 태그는 '문화방송' 이 아닙니다. 괄호 내용은 복사하지 마세요) 라디오 칸사이
Lantis
BEAT☆Net Radio (반다이 비쥬얼입니다. 괄호 부분은 복사하지 마세요) Wayuta
i-revo (코나미 스테이션입니다. 괄호 부분은 복사하지 마세요)
EX ) [위에서 써온 예를 그대로 적용한 겁니다]
오덕후 스테이션, A.R., 삼치눈, 라덕이 넘치는 스테이션
추가 사항 #01 - 라디오 파일 입력 이름 입력
대체적으로 잘 지켜지긴 하나 정돈이 안된 경우도 있더군요. 라디오 파일 입력 방법에 대해 다시 한 번 다룹니다.
여기서 회수를 기입하는 부분에서 #가 아니라 [ 第13回 ] 처럼 한문으로 표시해도 좋습니다. 그리고 소제목은 그렇다쳐도, 출연한 게스트 이름 만큼은 반드시 입력하도록 합시다.
그래야 나중에 하드에서 파일 찾기도 수월하죠.
추가 사항 #01 - 압축 파일 이름
압축 파일 이름은 반드시 영문으로 표기하셔야 합니다.
아직까진 팍스 아메리카다보니 양키들이 중심인 세상이라 알파벳을 써야 티스토리에서 에러도 안 뿜고 인식도 잘하며 받아가시는 분들도 문제없이 다운해서 압축을 푸실 수 있습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한글이나 일본어의 표기법을 아끼시더라도 라디오 업로드에 있어서만큼은 철저히 세상의 순리를 따릅시다.
EX )
원본 파일 이름 : [2008.12.10] さよなら絶望放送 #67『世界年末戦争』 (Guest - MAEDAX G) 압축 파일 이름 : [2008.12.10] SZBH.rar